2009년 1월 18일 여의도 63빌딩에서 제 11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 연수강좌 [The 11th CUMC Updates in Obstetrics & Gynecology]이 열렸습니다.
[프로그램 안내]
제 11회 개원의와 전공의를 위한 가톨릭의대 산부인과 연수강좌 [주산기학] 09:10~09:30 - 임신 중 약물 복용의 Guideline 09:30~09:50 - 의료 사고에 대비한 의무기록 작성법 09:50~10:10 - 3D 초음파로 만나는 태아기형의 환자설명 및 동영상(메디슨 초청 강연)
[부인종양학] 10:40~11:10 - 개원의를 위한 부인암 선별검사 Guideline 11:10~11:40 - 외래에서 시행하는 갑상선 및 유방질환의 진단과 치료 * HPV vaccination(GSK 초청) 11:50~12:10 - Cervarix 임상연구의 Update 12:10~12:30 - Cervarix 임상처방의 실제
[부인내분비학] 13:30~13:50 - 최신 호르몬 치료법 경향 13:50~14:10 - 최신 골다공증 환자 관리 경향 14:10~14:30 - 피임상담 가이드라인
[일반부인과학] 14:40~15:00 - 요실금 수술을 위한 Office Urodynamic study 15:00~15:15 - 자궁근종 여성의 자궁보전 비법이란? 15:15~15:30 - 여성 성병(STD)의 진단 및 치료법
[미용부인과] 16:00~16:20 - M-sling 질축소술(질성형 및 질 탈출 예방) 16:20~16:40 - 성공적인 질 성형수술을 위한 수술후 환자 관리 노하우 16:40~17:00 - 부인과 의사가 시행할 수 있는 미용성형 수술
저희 삼광의료재단이 이번 학회에 참석하여 부스를 설치하여 산부인과에 관련된 검사에 대해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홍보활동을 하였습니다.
2008년 8월 24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제 9회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 연수강좌 [What''s New and Important in Obstetrics & Gynecology]이 열렸습니다.
[프로그램 안내]
What''s New and Important in Obstetrics & Gynecology? 부인종양학 - 개원가에서 필요한 자궁부속기 종양의 관리지침 - 2008년 자궁경부암 예방 백신의 현황 및 4가, 2가 백신의 비교 - 자궁내막 병변 진단의 Key point - 유방암 진단의 최신 영상기법
불임 및 내분비 - 개원가에서 미성년클리닉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 맞춤형 골다공증 치료제의 선택 선별기준 - 다낭성 난소, 그 의미와 접근전략
Special Lecture - Livial, Overview of the Evidence on Efficacy and Safety
산과학 - 신상아 저산소성 뇌병변 의료사고 대처법 - 개원가에서의 임신성 당뇨 관리 무엇이 문제인가? - 태아 요관확장증을 포함한 비뇨기계 정밀 초음파 소견과 예후 - 임신중 바이러스 질환(풍진, 수두 등) 감염시 상담과 처치
일반 부인과 - 개원가에서 시행하는 UDS(Urodynamic study) 올바른 방법과 해석 - 중년이후 여성의 성기능 향상을 위한 testosterone 및 최신치료 - 폐경여성에서 사용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및 그 효과 - 개원가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아이템 (IPL 100% 활용하기)
저희 삼광의료재단이 이번 학회에 참석하여 부스를 설치하여 산부인과에 관련된 검사에 대해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홍보활동을 하였습니다.
삼광의료재단 이경희씨와 Hallym 대학교 일송생명과학 연구소 김용선 교수팀의 공동 연구로 논문이 진행되어 2008년 5월 국제학술지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에 게재되었습니다.
제목: 한국인에서 산발적으로 생겨나는 크루즈펠트 야콥병 (sCJD)과 PRNP 유전자 1368번의 다형성과의 관계
요약: PRNP는 프리온 단백을 만들어 프리온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 유전자로 이 유전자의 코돈 129번과 219번은 인간 광우병으로 알려진 변종CJD(vCJD), 유전적CJD(fCJD), 자연발생적 CJD(sCJD)를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후 sCJD와 PRNP exon Ⅰ유전자의 위쪽에 존재하는 1368의 다형성과의 관계가 영국과 독일에서 이미 보고된 바 있으며 이 논문은 한국인에서 sCJD환자와 PRNP유전자의 다형성이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되었다. 이 실험에서는 212명의 건강한 한국인과 171명의 sCJD 환자의 유전적 다형성의 빈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영국과 독일 그룹의 결과와는 달리 한국인에서는 sCJD환자와 대조군과의 의미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또한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PRNP 유전자 1368번의 다형성의 빈도가 유럽인과 독일인이 갖고 있는 유전적 빈도와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